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먼저 1종, 2종을 선택하고 안전교육 ▷ 신체검사 ▷ 시험(필기, 기능(실기)) ▷ 연습면허증 발급 ▷ 도로주행의 과정을 거친 후 모두 합격하면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운전면허증 취득과정, 시험, 비용, 기간에 대해 알아보자.
![]() |
운전면허 취득 과정- 필기시험 | 기능시험 | 비용 | 기간 |
운전면허증을 취득할 수 있는 나이는 만 18세 이상으로 고등학교를 바로 따는 경우가 많다. 운전면허증은 1종과 2종으로 나뉘며 2종 보통면허를 취득 후 1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운전면허증의 종류에 따라 운전할 수 있는 차량에 차이가 있다.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방법은 크게 독학 그리고 학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독학으로 운전면허를 따는 방법은 가장 저렴하게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운전면허 취득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혼자 해야 하는데 필기는 어떻게든 되겠지만 실기(기능), 도로주행의 경우 주변 지인에게 도움을 받아야 연습할 수 있으며 만일 기능 또는 도로주행 연습 시 사고가 발생하면 무면허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또한 연습면허증 없이 도로주행을 연습하는 것은 불법이므로 반드시 연습면허까지 발급받은 후 도로주행 연습을 해야 한다.
주변에 연습을 도와줄 지인이 없거나 차량이 없는 경우 운전면허 전문 학원을 이용해야 한다. 운전면허 학원은 수강비가 발생해 독학보다는 가격이 좀 더 들지만 장내기능과 도로주행까지 제대로 연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면허 전문 학원 중에는 자체 시험이 가능한 학원도 있어 본인이 연습했던 코스로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면허 취득이 좀 더 수월할 수 있다.
운전면허증 취득 과정은 독학이냐 학원을 다니냐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인다.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가까운 운전면허 시험장을 선택해 교육을 신청한다. 교육은 하루 전까지 신청 가능하며 당일 예약은 불가능하다.
교육시간은 총 1시간으로 시간을 잘 맞춘다면 하루 만에 신체검사, 학과시험(필기), 장내기능(실기), 도로주행까지 응시할 수 있다.
교통안전 교육을 받은 후 신체검사를 받는다.
학과 시험(필시 시험)을 본다.
학과 시험(필기시험) 합격 후 바로 장내 기능(실기) 시험 응시할 수 있다.
장내 기능(실기) 시험까지 합격을 했다면 연습면허증을 발급받는다. 이 연습면허증이 있어야 도로주행 연습을 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면허를 취득한지 2년 이상이 된 동승자와 함께 연습해야 한다. 또한 안전을 위해 '주행 연습' 표지를 부착해야 하며 주행 연습 이외의 운전은 할 수 없다.
면허시험장의 2~4개의 코스 중 하나가 랜덤으로 선택되어 해당 코스에서 시험을 본다. 불합격 시 3일 후 재응시 가능하다.
위의 절차를 모두 합격하면 운전면허증이 나온다.
운전면허를 따는 기간은 2-3주 정도가 보통이지만 독학으로 따는 경우 그 기간이 많이 줄어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