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엠폭스(원숭이 두창) 감염자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엠폭스(원숭이 두창)이란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와 전파 경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
엠폭스(원숭이 두창) - 증상 | 전파 경로 | 치료 방법 |
원숭이 두창은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발진, 독감 증상을 유발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및 미국 내에서 전파되고 있으며 주로 사람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파되고 있다.
원숭이 두창은 천연두 바이러스인 베리올라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과에 속해 있어 천연두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천연두보다는 조금 약한 증상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지만 간혹 치명적인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 따르면 원숭이 두창이라는 이름은 1958년 연구용으로 기르던 원숭이 무리에서 천연두와 비슷한 질병이 두 차례 발병하면서 붙여졌다. 또한 최초의 인간 감염 사례는 1970년 콩고에서 발생되었다.. 그 후 약 40년간 보고된 사례가 없다가 2017 나이지리아에서 재발했다.
중앙아프리카와 서 아프리카에서 발원한 두 가지 유형의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질병이 존재한다. 2022년 세계적인 원숭이 두창 발병은 일반적으로 덜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서 아프리카 유형에 의해 발생했다.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평균적으로 1-2주 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독감과 유사한 증상으로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다.
이런 독감과 비슷한 증상들은 대부분 발진 증상으로 이어진다. 발진은 여드름, 수포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
발진은 여드름과 유사한 혹, 수포가 생긴 후 딱지가 생기고 떨어진 후 완전히 치유되는 단계를 겪는다. 원숭이 두창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은 일반적으로 2~4주 동안 지속된다.
발진은 얼굴, 입안, 손, 발, 가슴, 생식기 또는 항문에 나타날 수 있으며,일부 사람들은 발진이 먼저 나타난 후 다른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일부 사람들은 발진만 겪을 수도 있다.
원숭이 두창은 동물이나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원숭이 두창의 현재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일반적인 지원 치료가 진행되거나 보통 자연스럽게 증상이 사라진다.
예방 백신으로는 FDA에서 승인한 두 가지 천연두 예방 백신인 JYNNEOS(Imvamune 또는 Imvanex로도 알려져 있음)와 ACAM2000이 원숭이 두창 감염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