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

Pages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

2023년 6월부터 우리나라도 만 나이를 사용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했던 나이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황에 따라 나이가 달라질 수 있었는데 이제 2023년 6월부터는 만 나이가 적용돼 이런 일이 사라질 걸로 예상된다.

한국식 나이

한국식 나이는 상황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 한국식 나이
  • 연으로 따지는 나이
  • 만 나이
다음으로 각 나이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식 나이

태어남과 동시에 1살로 시작하며 매년 1월 1일 한 살을 더 먹는 방식의 계산법이다. 

만 나이 도입 전 가장 많이 쓰인 나이 계산 방식이며 동아시아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하던 방식이다. 

연 나이

태어난 해는 0살로 시작하며 매년 1월 1일에 한 살이 추가되는 나이 계산 방식이다.

이는 현재 병역법에서만 적용되는 방식으로 활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병역법에 따라 대한민국의 남성들은 연 나이로 18세 병역의무가 발생하고, 19세가 되는 해 병역 판정 신체검사를 받게 된다. 병역 판정 신체검사를 받은 다음 해인 20세부터 입영이 가능하다. 
  • 청소년 보호법 제2조에 따르면 청소년은 '만 19세 미만의 사람을 말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하는 사람은 제외된다'라는 부가 설명으로 인해 사실상 연 나이를 기준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만 나이, 만 나이 계산 방법

태어난 해는 0살로 시작하며 매년 생일에 한 살을 더 먹는 나이 계산 방식이다. 

현재 대한민국을 제외한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공문서·법조문·이력서·언론·병원 등에서는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다.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아래 두 가지 사실을 기억하면 된다. 

  1. 태어난 해에는 0살
  2. 생일이 지나야 한 살 추가

일단 현재 자신의 나이에서 올해 생일이 지났다면 한 살을 빼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두 살을 빼면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A: 2000년 3월 10일 생
  • B: 2000년 10월 10일 생
  • (글 작성일 2023년 3월 24일 기준 현재 한국식 나이는 24살)
둘의 현재(글 작성일 기준 23/03/24) 한국식 나이는 24살로 같다. 하지만 A의 생일은 지났고 B는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 
  • A: 24 - 1 = 만 23세
  • B: 24 - 2 = 만 22세
만 나이는 생일이 지나야 한 살을 더 먹기 때문에 같은 해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가 다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