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시고 타이레놀을 먹어도 되는지, 아니면 반대로 타이레놀을 먹고 술을 마셔도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타이레놀 복용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타이레놀은 '해열 진통제'로 열을 내려주고 통증을 완화해 주는 약품이다. 진통제는 크게 말초성 진통제와 중추성 진통제로 나뉘는데 중추성 진통제의 대표가 바로 타이레놀의 주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다.
술을 마시면 간은 술을 분해/해독을 시작하며 간에 무리가 가기 시작한다. 간에서 알콜을 분해하는 방식은 알콜 탈수 효소에 의한 대사, 그리고 CYP2E1로 인한 대사가 있다.
타이레놀의 주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의 대사 역시 CYP2E1로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술과 타이레놀의 성분이 같은 효소로 대사 된다. 이런 경우 간의 독성물질이 증가하여 간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서 대사과정을 마치고 독성물질을 배출한다. 배출되는 독성물질은 글루타치온이 해독을 하는데 술을 마신 후, 평소 술을 많이 마신 사람의 경우 글루타치온이 부족해 해독이 어렵다.
술을 먹지 않아도 체내 글루타치온 농도가 낮아지는데 술을 마신 상태에 더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까지 복용했다면 체내 글루타치온은 매우 부족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위험성 때문에 진통제를 먹지 않을 수는 없다. 다른 성분의 진통제로는 이부프로펜 성분의 진통제가 있다.
하지만 다른 성분의 진통제는 간 손상을 줄일 수는 있지만 위장 출혈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하니 술을 먹고 난 후 진통제는 되도록 먹지 않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