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은 배란을 억제해 임신 가능성을 낮춰주는 약물로 피임 성공률이 98~99%에 달한다. 경구피임약은 호르몬제이기 때문에 처음 복용 시 몸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복용방법에 따라 복용해야 부작용을 줄이고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
![]() |
경구 피임약 복용 방법 - 종류 | 복용 방법 |
경구피임약은 일반의약품으로 별도의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는 이유는 피임 목적, 생리 주기 조절, 생리 양 조절, 생리 미루기, 생리통 완화, 생리전 증후군 완화, 빈혈 예방, 여드름 치료, 다낭성 난소증후근 치료, 자궁질환(자궁근종, 자궁 내막염, 자궁내막암, 자궁외 임신, 난소암 등) 예방 목적 등의 이유로 복용하고 있다.
경구피임약은 프로게스테론(레보노게스트렐, 데소게스트렐, 게스토덴, 드로스피레논, 디에노게스트)의 성분을 기준으로 세대를 나눌 수 있으며 세대가 높다고 해서 최근에 나온 신약이 아니다.
대부분의 경구피임약은 총 21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리를 시작하는 첫날부터 21일(3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한 알씩 21일 동안 복용한다.
한 달을 28일로 잡고 21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한 알씩 복용하고 7일을 쉰다. 생리 시작 첫날부터 복용하는 것이 좋지만 깜빡하여 먹지 못했더라도 가능하면 생리를 시작일로부터 5일 이내에 시작하여 매일 한 알씩 복용한다.
21번째 약을 복용 후 7일을 쉬게 되는데 이 기간은 생리 기간으로 본다. 복용을 중단하고 2~3일 후 생리가 시작되며 이 기간에도 피임효과는 유지된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더 늦어질 수도 있고 가끔 생리를 건너뛰기도 한다.
경구피임약은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몇 시간 정도의 오차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오차가 심하거나 며칠씩 빼먹는 경우에는 제대로 된 피임 효과를 보기 힘들다.
경구피임약의 피임 효과는 보통 10일 이후부터 나타난다. 경구피임약을 처음 복용한 경우 몸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호르몬 변화로 인해 늦은 생리나 건너뛰는 경우가 나타나지만 적응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적응 시간은 개인마다 차이를 보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