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 부작용

Pages

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은 피임, 생리주기 조절 등을 이유로 많은 여성들이 복용 중인 약품이다. 일반 의약품으로 별도의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약품이지만 사람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경구피임약의 대표적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은 여성의 호르몬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부정출혈
  • 구토, 메스꺼움, 가슴 통증, 어지럼증, 체중 증가, 유방통, 여드름, 우울감
  • 혈전 및 각종 질환

부정출혈

처음 경구피임약을 복용한 경우 첫 한두 달간은 소량의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부정출혈은 1~3 달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하지만 부정출혈이 계속될 경우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약을 바꿔주는 것이 좋다. 또한 약의 복용 시점과 관계없이 부정출혈이 발생하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구토, 메스꺼움, 가슴 통증, 어지럼증, 체중 증가, 유방통, 여드름, 우울감

개인에 따라 증상이 조금씩 다르지만 구토나 메스꺼운 증상이 나타 기도하며 가슴 통증(유방통)도 나타날 수 있다. 임신 상태와 비슷한 호르몬이 나오기 때문에 어지럼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몸이 붓고(체중 증가)나 가슴이 팽팽해질 수 있다.

여드름이 나기도 하며 기분의 급격한 변화로 우울감이 들 수도 있다. 처음 복용 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심한 경우 복용을 멈추었다 다시 복용하면 괜찮아질 수 있다.

이런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고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대부분 복용 시작 후 2~3개월 후에는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 복용을 중단하고 자신에게 맞는 약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으며 참기 힘든 경우에는 산분인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경구피임약의 에스트로겐 함량이 높을수록 부정출혈, 구토, 메스꺼움,  유방 팽만감, 유방통, 편두통, 고혈압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프로게스테론 함량이 높을수록  부종, 여드름, 우울감, 체모 증가, 식욕, 체중 증가, 체온 상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흡연 여성 경구피임약 복용

흡연 여성의 경우 경구피임약으로 인해 혈전 등 심혈관 관계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는 35세 이상 흡연 여성인 경우 머시론, 에이리스, 마이보라뿐만 아니라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야스, 야스민 등 총 11개 경구피임약의 복용을 금지하고 있다.

35세 이상의 흡연 여성이 경구피임약을 복용할 경우 심혈관계 부작용이 현저하게 커질 수 있으며 이는 복용 금지 사항이기 때문에 금연을 하거나 경구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경구 피임약과 성병의 관계

경구피임약은 성병과 관련이 없으며 성병 예방 효과가 없다.

임신, 기형아 관련

경구피임약은 임신 능력이나 기형아 발생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한 약이지만 임산부, 임신이 의심되는 경우, 수유 중일 경우에는 복용을 금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