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싸게 샀다고 좋아했는데 이것저것 계산해보니 더 큰 돈이 들어가면 뭔가 기분이 언짢아진다. 미리 대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차 값만 지불하면 끝나는 걸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고차를 살 때도 들어가는 세금이 있다. 중고차 살 때 드는 세금 종류와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중고차를 구매할 때 드는 세금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세금으로 이는 신차를 구매할 때는 물론 중고차를 구매할 때도 납부해야 한다.
중고차 취득세 계산 순서는
실제 감가율은 지방자치단체 및 차량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략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 취득세 면제 되는 경우
서울, 인천, 부산은 내지 않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공채를 매입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과세표준 2,000만 원일 경우, 공채 5%(100만원)을 매입하는데 할인해서 사니까 실제론 7~9만 원 정도 손해라고 볼 수 있다.
자동차 매매 계약서 작성할 때 드는 세금으로 중고차 딜러가 부담하긴 하는데 당근 지역 카페 등 개인 거래의 경우 본인이 내야 한다.
중고차 딜러한테 살 경우 붙는 돈으로 세금은 아니지만 내야하는 금액이기에 글에 포함 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