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적용 사업장

Pages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적용 사업장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2022년 대비 5%가 올랐다. 아르바이트생, 시급제 직장인들의 주휴수당 역시 본인의 시급(최저시급)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2023년 주유수당도 상승했다.

그렇다면 받을 수 있는 2023년 받게 되는 주휴수당은 얼마인지,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 계

산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 주휴수당이란?

시급제 아르바이트생/직장인들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했을 경우 주휴 일을 받게 된다. 주휴 일은 유급휴일이며 이때 받는 돈이 바로 주휴수당이다. 

👉 간단하게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1.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 본인 시급 *8 = 주휴수당
  2. 주 40시간 미만 근무하는 경우: (일주일 근무시간 /40) * 8 * 시급 = 주휴수당

더 간단히 계산하는 방법

일주일 근무시간 * 시급 * 20%

ex) 2023년 최저 시급으로 일주일에 20시간 일을 할 때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은?

9,620 * 20 * 20% = 38,480원이 된다.

👉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은 업종에 상관없이 5인 미만 사업장일지라도 무조건 적용된다. 아르바이트, 일용직 근로자 역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만 근무를 한다면 모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다.

주휴수당도 임금에 해당하기 때문에 주휴수당 미지급 시 임금체불로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