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중독 테스트, 진단 및 게임 중독 치료방법

Pages

게임 중독 테스트, 진단 및 게임 중독 치료방법

본인 혹은 자식(아들/딸)이 게임 중독에 빠진 게 아닌지 걱정이라면 우선 간단한 게임중독 테스트를 통한 진단을 통해 게임 중독인지 알아보고 만약 게임 중독 증상이 나왔다면 게임 중독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게임중독

게임에 중독되면 일상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가족은 물론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하지 않으려 하고 성적, 업무에도 지장이 가기 마련이다. 게임 중독 증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그 증상은 점점 심해져 스스로를 사회와 격리하는 사태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게임 중독이 아닌지 돌아보고 게임 중독 증상이 보인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게임중독 자가 진단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게임 중독 자가 진단은 스마트 쉼 센터와 청소년 사이버 상담 센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게임중독 치료 방법

게임 중독 치료 방법은 본인 스스로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가족 및 주변 사람들과의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 게임이 아닌 야외 활동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다.

주변에 이런 지인들이 없어 혼자서 이겨내기 힘들다면 관련 상담 센터 및 치료 기관을 찾아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게임중독 상담 및 치료 기관 찾기

게임 및 인터넷 중독에 대한 상담은 스마트 쉼 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상담, 센터 내방 상담, 가정 방문 상담 또는 전화상담(1599-0075)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한국 청소년 상담 복지 개발원, 청소년 사이버 상담 센터를 통해 청소년 및 부모를 대상으로 웹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온라인 상담, 채팅 상담, 전화 상담(1388)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치유·교육 프로그램 이용

    여성가족부에서 운영 중인 상설 치유 학교(국립 청소년 인터넷 드림 마을)와 한국 청소년 상담 복지 개발원과 지역별 청소년 상담 복지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기숙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기숙형 인터넷 · 스마트폰 치유 캠프

    • 대상: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 기간: 11박 12일
    • 내용: 심리검사, 개인상담, 가족 상담, 부모교육, 집단상담, 체험활동 등(프로그램 참가 후 청소년 상담 전문가와 연계) 지원(3개월)
    • 비용: 참여 및 프로그램 비용 무료/식비 등 일부 자부담
    • 문의: 거주 지역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또는 청소년 상담전화(☎ 1388)로 문의

    가족 치유 캠프

    • 대상: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초등생 및 부모
    • 기간: 2박 3일+사후모임
    • 내용: 청소년 집단상담, 부모교육 프로그램, 대안활동, 기타 가족활동 등
    • 비용: 참여 및 프로그램 비용 무료, 교통비 등 일부 자부담
    • 문의: 거주 지역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또는 청소년 상담전화(☎ 1388)로 문의

    국립 청소년 인터넷 드림 마을(상설)

    • 대상: 인터넷‧스마트폰 과다 사용 청소년 대상
    • 기간: 1~4주 과정
    • 내용: 심리검사, 개인‧집단상담, 가족 상담, 부모교육, 대안활동, 자치활동 등
    • 문의: 국립청소년 인터넷 드림 마을 홈페이지 또는 전화(☎ 063-323-2646, 2282)로 문의
    이 외에도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을 비롯한 전국의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및 학교 등에서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자녀들의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조절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본인에게 잘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게임 중독 테스트, 진단 및 게임 중독 치료방법
    게임 중독 테스트, 진단 및 게임 중독 치료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