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적금 차이, 예금 적금 중 어떤 것이 유리할까?

Pages

예금 적금 차이, 예금 적금 중 어떤 것이 유리할까?

예금과 적금은 돈을 모으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하지만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 현재 자신의 상황에 어떤 상품이 더 좋은 효과를 가지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다. 예금과 적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예금과 적금 중 자신에게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예금, 적금

예금과 적금은 모두 저축의 목적으로 은행에 돈을 맡겨두는 것을 의미하지만 더 깊이 들어가보면 아주 큰 차이가 있다. 각각의 개념과 차이점을 잘 숙지하여 본인의 상황과 목적에 맞는 상품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예금

예금이란 일정 기간 동안 은행에 돈을 맡겨 기간이 끝난 후 원금 + 이자를 한번에 받는 방법이다. 크게 정기 예금과 보통 예금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차이는 아래와 같다. 

정기예금

가입 시 원하는 금액을 한번에 납입한 다음, 정해진 기간 동안에는 환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상품이다. 예치 기간은 상품에 따라 그리고 예금주가 원하는 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중도 해지를 하게 되면 적용받는 이자율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신중히 고려 후 가입을 해야한다. 

보통예금

정기예금과 다르게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방식의 예금 상품이다. 예치금액, 기간, 가입대상 등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정기 예금에 비해 자금 활용이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정기 예금 보다는 이자율이 낮다.

적금

적금은 매달 일정하게 본인이 정한 납입 금액(한도 내)을 정해진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납입하는 저축 상품으로 적금도 크게 정기적금과 자유적금으로 나눌 수 있다.

정기적금

정해진 납입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한도 내)을 매달 납입하고 만기일에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상품으로 매달 납입을 해야하기 때문에 정기적이고 안정적인 저축에 도움이 되며 평소 소비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

자유적금

정기적금이 매월 같은 금액을 내야하는 것에 비해 자유 적금은 월에 납입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여 저축할 수 있는 상품이다. 정기 적금보다는 금액에 있어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해 경제적 상황에 맞추어 유연한 저축이 가능하다. 

예금 vs 적금

그렇다면 예금과 적금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 예금과 적금을 단순히 같은 금액, 같은 이자율로 비교를 하면 정기 예금 상품이 만기일에 돌려받는 이자금액이 크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1,200만원의 금액을 1년에 4%의 이율을 주는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을 가입할 경우로 비교해보면 정기 예금의 경우 만기일에 1,200만원 + 이자 48만원(세전 이자)으로 1,248만원을 받게 되지만 매월 100만원씩 나눠서 12개월을 납부하는 정기 적금의 경우 만기일에는 원금 + 이자를 합쳐 약 1,226만원(세전 금액)을 받게 된다.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로 같은 금액 같은 이자율이지만 실수령액의 차이가 발생한다. 예금의 경우 첫 납입금액(1,200만원)에 대해 이자를 받는 반면, 적금의 경우 첫 납입 100만원에 대해서는 12번의 이자, 두번째 달의 100만원에 대해서는 11번의 이자, 세번째 100만원에 대해서는 10번의 이자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예금 적금 요약

  • 예금: 목돈을 불리는 방법
  • 적금: 목돈을 만드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