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식 혈액형으로 알아보는 열성과 우성의 유전법칙

Pages

ABO식 혈액형으로 알아보는 열성과 우성의 유전법칙

혈액형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인 ABO식 혈액형. 

혈액 속 적혈구 표면의 항원, 혈액 속의 항체에 의해 발현되어 A,B,AB,O  4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A형은 A형 항원(응집원 A)을 가지고 B형은 B형 항원(응집원 B)을 가지고 있으며 AB형은 A, B형 항원을 모두 가지고 있다. O형은 A형, B형 두 항원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ABO 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 (이미지 출처 Pixabay.com)

혈액 속 항체는 A형은 항 B형 항체(응집소 β)를, B형은 항 A형 항체(응집소 α), O형은 이 두 가지 항체를 모두 가지고 있고 AB형에게는 아무 항체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성과 열성에 따른 혈액형 표기

어려운 말은 잠시 미뤄두고 최대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1. A,B 는 동급이고 O 보다는 우성이다.

우성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가 만나면 결과는 우성 유전자로 표현된다. A,B는 O 보다 우성 유전자로 A(혹은 B) 와 O 가 만나면 A(혹은 B)로 표현된다. A와 B가 만나면 AB가 된다. 

2. 그러면 O 형은 없어야 되는 거 아니냐?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아는 혈액형은 하나의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다. 쉽게 표현해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를 반반씩 받았으니 자식들은 혈액형에 관한 유전자도 2개를 가지고 있다. 이를 문자로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다.

A형의 종류: AA, AO

B형의 종류: BB, BO

AB형의 종류: AB 단일

O형의 종류: OO 단일

부모님이 각각 A형 B형일 때 자식은 O형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각 부모님의 혈액형은 AO, BO, 부모님의 혈액형 유전자에서 각각 O 만 받으면 가능하다. 

부모님 중 한 분이라도 AB형이라면 O형은 나올 수 없다. 

두 분 모두 O 형이라면 A,B가 들어가는 혈액형(A,B,AB 모두)도 나올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