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글세 뜻, 사글세가 뭐냐면 말이지

Pages

사글세 뜻, 사글세가 뭐냐면 말이지

사글세 뜻, 사글세가 뭐냐면

● 전세: 상대적으로 큰돈을 임대인(집주인)에게 맡기고 임차인은 각종 공과금이나 최소한의 관리비 정도만 내고 집을 빌려 사용하는 제도

● 월세: 전세에 비해 작은 돈(보증금)을 맡겨 놓고 매월 정해진 날짜에 집주인에게 돈을 내고 집을 빌려 사용하는 제도

● 반전세: 월세와 전세의 중간 정도로 월세보단 높은 보증금, 전세보단 낮은 보증금, 월세보단 낮은 월세 등으로 뭔가 애매한 제도

사글세
사글세가 뭐냐면 말이지

그렇다면 사글세는 뭘까?

원래 사글세 삯월세라고 불렸으나 점점 전해져 내려오면서 사글세로 굳혀지게 된 단어로 월세와 비슷하면서 조금은 다른 방식의 임대 방식이다.

월세는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주고 정해진 날짜에 월 임차 금액을 납부하는 방식인데 사글세는 보증금이라는 개념 없이 계약한 기간 만큼의 월 임차 금액을 한 번에 납부 한 형태의 임대 계약을 말한다. 

최근에 보기 힘든 계약 유형이지만 대학가의 경우 아직도 사글세 방식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사글세 계약 장점

사글세는 계약 기간 만료 후 어차피 내가 받을 돈이 없고 내가 돈 낸 만큼의 기간을 거주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 말 많은 전세 사기로부터 조금 자유롭다. 한 번에 목돈이 나가긴 하지만 계약하면서 돈을 납부해 놓으면 계약 기간 동안에는 집세를 따로 계산할 필요가 없어 신경 쓸 부분이 줄어든다.

사글세 계약 단점

계약 기간만큼 거주하고 떠나면 되기 때문에 임차인 입장에서는 크게 문제 될 게 없다. 굳이 단점을 뽑자면 모종의 사유로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이사를 가야 할 경우 이미 지급한 사글세 비용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

임대인 입장에서의 단점은 계약 기간 만료 후 파손된 부분의 수리비나 청소 비용 등을 따로 청구할 수 없다. 대부분 따로 청구하기보단 보증금에서 제하고 보증금을 돌려주는 경우가 많은데 사글세 계약은 이런 경우에 대비한 안전장치인 보증금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