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에서 월세로 또는 월세에서 전세로 바꾸면 얼마가 되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통상적으로 전세금(보증금) 100만원에 월세1만원으로 환산하지만 이는 정확한 방법이 아니다. 전월세 전환율을 통해 전세▷월세, 월세▷전세 전환 계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
전월세 전환율 계산하는 방법 - 전세 | 월세 |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로 전세금(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하거나 환산할 경우 적용되는 조정 비율을 말한다.
전세금(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하는 비율은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 2에서 규정하고 있다. 해당 규정에 의하면 전세금(보증금)을 월 임대료로 전환할 때는 일정 비율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7조의 2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의 제한)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 단위의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그 전환되는 금액의 다음 각 호 중 낮은 비율을 곱한 월 차임의 범위를 초과할 수 없다.
전세를 월세로 변환할 경우 계산 방식은
위의 전세를 보증금 5천 월세 계약으로 전환 시 납부해야 할 월세를 계산해 보도록 하자.
반대로 월세를 전세로 전환하는 방법은
위의 월세를 전세 계약으로 전환시 추가로 납부해야 할 보증금(전세금)을 계산해 보도록 하자.
많은 사람들이 월세보다는 전세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대출 없이 본인의 자금만으로 전세를 사는 경우 이자는 발생하지 않지만 대출의 경우 이자가 발생하여 오히려 손해인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본인에게 맞는 상황의 임대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런 글은 어때요?